이번에는 캐글의 입문자를 위한 튜토리얼 문제라고 할 수 있는 Titanic: Machine Learning from Disaster 의 예측 모델을 python으로 풀어보는 과정에 대해서 포스트를 할 것이다.

해당 포스팅에서 사용한 코드는 여기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Contents

  1. 문제 정의하기

  2. 데이터 불러오기

  3. 데이터 분석

  4. 데이터 전처리 및 특성 추출

  5. 모델 설계 및 학습

  6. 마무리


1. 문제 정의하기

What caused the 'unsinkable' Titanic, built with the latest 20th century technology, including 16 watertight compartments, to actually go down?
What caused the ‘unsinkable’ Titanic, built with the latest 20th century technology, including 16 watertight compartments, to actually go down?

타이타닉 호에서 탑승했던 사람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생존자를 예측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여러 가지 머신러닝 스킬들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2. 데이터 불러오기

먼저 필요한 라이브러리인 numpypandas를 import하고, 데이터(train.csv, test.csv) 파일을 코드와 같은 디렉토리에 다운을 받고 pd.read_csv 를 이용해서 불러오자.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train = pd.read_csv('train.csv')
test = pd.read_csv('test.csv')

데이터가 제대로 불러와졌는지를 확인해 보려면 train.head()를 실행시켜 보면 되는데, 위에서 불러온 train이라는 dataframe 중에서 앞의 5개의 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 값을 parameter로 받아 그 만큼의 열을 보여준다.

train.head()
  PassengerId Survived Pclass Name Sex Age SibSp Parch Ticket Fare Cabin Embarked
0 1 0 3 Braund, Mr. Owen Harris male 22.0 1 0 A/5 21171 7.2500 NaN S
1 2 1 1 Cumings, Mrs. John Bradley (Florence Briggs Th… female 38.0 1 0 PC 17599 71.2833 C85 C
2 3 1 3 Heikkinen, Miss. Laina female 26.0 0 0 STON/O2. 3101282 7.9250 NaN S
3 4 1 1 Futrelle, Mrs. Jacques Heath (Lily May Peel) female 35.0 1 0 113803 53.1000 C123 S
4 5 0 3 Allen, Mr. William Henry male 35.0 0 0 373450 8.0500 NaN S

3. 데이터 분석

일단 제대로 데이터 분석을 하기 전에 캐글에서 제공되는 Data Dictionary를 살펴 보자.
SipSpParch같이 변수명의 의미을 바로 알 수가 없을 때나, Categorical feature의 변수값의 의미를 얻을 때 도움이 된다.

Data Dictionary from Kaggle

Variable Definition Key
Survived Survival 0 = No, 1 = Yes
Pclass Ticket class 1 = 1st, 2 = 2nd, 3 = 3rd
Sex Sex  
Age Age in years  
SibSp # of siblings / spouses aboard the Titanic  
Parch # of parents / children aboard the Titanic  
Ticket Ticket number  
Fare Passenger fare  
Cabin Cabin number  
Embarked Port of Embarkation C = Cherbourg, Q = Queenstown, S = Southampton

Variable Notes

Pclass: A proxy for socio-economic status (SES) 1st = Upper 2nd = Middle 3rd = Lower

Age: Age is fractional if less than 1. If the age is estimated, is it in the form of xx.5

SibSp: The dataset defines family relations in this way…
Sibling = brother, sister, stepbrother, stepsister
Spouse = husband, wife (mistresses and fiancés were ignored)

Parch: The dataset defines family relations in this way…
Parent = mother, father
Child = daughter, son, stepdaughter, stepson
Some children travelled only with a nanny, therefore parch=0 for them.

위의 Data Dictionary를 살펴보면 승객 데이터에서 제공되는 특성은 10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의미를 바로 알기 힘든 것 들을 살펴보자.

Survivied는 생존 여부(0은 사망, 1은 생존; train 데이터에서만 제공),
Pclass는 사회경제적 지위(1에 가까울 수록 높음),
SipSp는 배우자나 형제 자매 명 수의 총 합,
Parch는 부모 자식 명 수의 총 합을 나타낸다.

이제 각각 특성들의 의미를 알았으니, 주어진 데이터에서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자.

print('train data shape: ', train.shape)
print('test data shape: ', test.shape)
print('----------[train infomation]----------')
print(train.info())
print('----------[test infomation]----------')
print(test.info())

Output:

train data shape:  (891, 12)
test data shape:  (418, 11)
----------[train infomation]----------
<class 'pandas.core.frame.DataFrame'>
RangeIndex: 891 entries, 0 to 890
Data columns (total 12 columns):
PassengerId    891 non-null int64
Survived       891 non-null int64
Pclass         891 non-null int64
Name           891 non-null object
Sex            891 non-null object
Age            714 non-null float64
SibSp          891 non-null int64
Parch          891 non-null int64
Ticket         891 non-null object
Fare           891 non-null float64
Cabin          204 non-null object
Embarked       889 non-null object
dtypes: float64(2), int64(5), object(5)
memory usage: 83.6+ KB
None
----------[test infomation]----------
<class 'pandas.core.frame.DataFrame'>
RangeIndex: 418 entries, 0 to 417
Data columns (total 11 columns):
PassengerId    418 non-null int64
Pclass         418 non-null int64
Name           418 non-null object
Sex            418 non-null object
Age            332 non-null float64
SibSp          418 non-null int64
Parch          418 non-null int64
Ticket         418 non-null object
Fare           417 non-null float64
Cabin          91 non-null object
Embarked       418 non-null object
dtypes: float64(2), int64(4), object(5)
memory usage: 36.0+ KB
None

이제 위에서 살펴본 특성들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먼저 데이터 값의 분포를 보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불러오자.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matplotlib inline
import seaborn as sns
sns.set() # setting seaborn default for plots

일단 당장 seaborn은 사용하지 않을 거긴 한데, 다음 포스팅에서 이를 다룰 예정이다.

3-1. Pie chart for Categorical Feature

먼저 다음과 같은 Categorical Feature의 분포를 보기 위해서 Pie chart를 만드는 함수를 정의해보자.

  • Sex
  • Pclass
  • Embarked
def pie_chart(feature):
    feature_ratio = train[feature].value_counts(sort=False)
    feature_size = feature_ratio.size
    feature_index = feature_ratio.index
    survived = train[train['Survived'] == 1][feature].value_counts()
    dead = train[train['Survived'] == 0][feature].value_counts()
    

    plt.plot(aspect='auto')
    plt.pie(feature_ratio, labels=feature_index, autopct='%1.1f%%')
    plt.title(feature + '\'s ratio in total')
    plt.show()

    for i, index in enumerate(feature_index):
        plt.subplot(1, feature_size + 1, i + 1, aspect='equal')
        plt.pie([survived[index], dead[index]], labels=['Survivied', 'Dead'], autopct='%1.1f%%')
        plt.title(str(index) + '\'s ratio')

    plt.show()

먼저 Sex에 대해 Pie Chart를 그려보자면,

pie_chart('Sex')

Pie Chart for Sex feature.
Pie Chart for Sex feature.

위와 같이 남성이 여성보다 배에 많이 탔으며, 남성보다 여성의 생존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제 사회경제적 지위인 Pclass에 대해서도 그려보자.

pie_chart('Pclass')

Pie Chart for Pclass feature.
Pie Chart for Pclass feature.

위와 같이 Pclass가 3인 사람들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Pclass높을수록(숫자가 작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생존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느 곳에서 배를 탔는지를 나타내는 Embarked에 대해서 살펴보자.

pie_chart('Embarked')

Pie Chart for Embarked feature.
Pie Chart for Embarked feature.

위와 같이 Southampton에서 선착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Cherbourg에서 탄 사람 중에서는 생존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고, 나머지 두 선착장에서 탄 사람들은 생존한 사람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이 조금 더 많았다.

3-2. Bar chart for Categorical feature

이번에는 아래의 특성들에 대해서 Bar chart를 정의해서 데이터를 시각화 해보자.

  • SibSp ( # of siblings and spouse)
  • Parch ( # of parents and children)
def bar_chart(feature):
    survived = train[train['Survived']==1][feature].value_counts()
    dead = train[train['Survived']==0][feature].value_counts()
    df = pd.DataFrame([survived,dead])
    df.index = ['Survived','Dead']
    df.plot(kind='bar',stacked=True, figsize=(10,5))

먼저 SibSp에 대해서 Bar chart를 그려보자.

bar_chart("SibSp")

Bar Chart for SibSp feature.
Bar Chart for SibSp feature.

위와 같이 2명 이상의 형제나 배우자와 함께 배에 탔을 경우 생존한 사람의 비율이 컸다는 것을 볼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생존한 사람의 비율이 적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Parch에 대해서도 Bar chart를 그려보자.

bar_chart("Parch")

Bar Chart for Parch feature.
Bar Chart for Parch feature.

Parch특성은 SibSp와 비슷하게 2명 이상의 부모나 자식과 함께 배에 탔을 때는 조금 더 생존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생존한 사람의 비율이 적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데이터 특성들을 간략하게 종합해보면,
성별이 여성일 수록(영화 타이타닉에서 나온 것 처럼 여성과 아이부터 먼저 살렸기 때문이 아닐까 싶고),
Pclass가 높을 수록(맨 위의 사진을 보면 타이타닉 호는 배의 후미부터 잠기기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티켓의 등급이 높아질 수록 숙소가 배의 앞쪽과 위쪽으로 가는 경향이 있어 그 영향이 아닐까 싶고),
Cherbourg 선착장에서 배를 탔다면,
형제, 자매, 배우자, 부모, 자녀와 함께 배에 탔다면,
생존 확률이 더 높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특성과 생존 비율 만을 생각해서 예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예를 들어 높은 금액의 티켓(살 확률이 높은 숙소를 가진)을 산 부유한 사람이 가족들이랑 왔을 경우가 많다고 가정해본다면, 가족들과 함께 왔다고 해서 살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는 없으므로 단일 특성을 가지고 생존 확률을 예측하기보단 여러가지 특성을 종합해서 예측을 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4. 데이터 전처리 및 특성 추출

이제는 앞으로 예측할 모델에게 학습을 시킬 특성들을 골라서 학습하기에 알맞게 전처리 과정을 진행 해볼 것이다.

일단 우리가 선택할 특성은 Name, Sex, Embarked, Age, SibSp, Parch, Fare, Pclass이며, TicketCabin에 대한 의미는 아직 찾지 못했으므로 데이터 세트에서 제외하도록 하겠다.

또한 데이터 전처리를 하는 과정에서는 train과 test 데이터를 같은 방법으로 한 번에 처리를 해야하므로 먼저 두 개의 데이터를 합쳐보도록하자.

train_and_test = [train, test]

4-1. Name Feature

이름이 사실 중요하지 않은 특성이라 생각 할 수도 있는데, 데이터에서 제공되는 승객들의 이름에는 Title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Heikkinen, Miss. Laina라는 이름에는 Miss라는 Title이 있는데, 이를 통해서 승객의 성별이나 나이대, 결혼 유무를 알 수가 있다.

사실 성별이랑 나이는 이미 데이터에 들어있는 정보라서 예측 성능에 그렇게 큰 영향이 있을 것 같지는 않지만 일단 이름에서 Title을 가져오도록 해보자.

데이터에 Title이라는 새로운 열을 만들어 Title에서 추출한 Title을 넣어주자.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Title'] = dataset.Name.str.extract(' ([A-Za-z]+)\.')

train.head(5)
  PassengerId Survived Pclass Name Sex Age SibSp Parch Ticket Fare Cabin Embarked Title
0 1 0 3 Braund, Mr. Owen Harris male 22.0 1 0 A/5 21171 7.2500 NaN S Mr
1 2 1 1 Cumings, Mrs. John Bradley (Florence Briggs Th… female 38.0 1 0 PC 17599 71.2833 C85 C Mrs
2 3 1 3 Heikkinen, Miss. Laina female 26.0 0 0 STON/O2. 3101282 7.9250 NaN S Miss
3 4 1 1 Futrelle, Mrs. Jacques Heath (Lily May Peel) female 35.0 1 0 113803 53.1000 C123 S Mrs
4 5 0 3 Allen, Mr. William Henry male 35.0 0 0 373450 8.0500 NaN S Mr

위에서 쓰인 ’ ([A-Za-z]+).‘는 정규표현식인데, 공백으로 시작하고, .으로 끝나는 문자열을 추출할 때 저렇게 표현을 한다.

한편 추출한 Title을 가진 사람이 몇 명이 존재하는지 성별과 함께 표현을 해보자.

pd.crosstab(train['Title'], train['Sex'])
Sex female male
Title    
Capt 0 1
Col 0 2
Countess 1 0
Don 0 1
Dr 1 6
Jonkheer 0 1
Lady 1 0
Major 0 2
Master 0 40
Miss 182 0
Mlle 2 0
Mme 1 0
Mr 0 517
Mrs 125 0
Ms 1 0
Rev 0 6
Sir 0 1

여기에서 흔하지 않은 Title은 Other로 대체하고 중복되는 표현을 통일하자.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Capt', 'Col', 'Countess', 'Don','Dona', 'Dr', 'Jonkheer',
                                                 'Lady','Major', 'Rev', 'Sir'], 'Other')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Mlle', 'Miss')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Mme', 'Mrs')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Ms', 'Miss')

train[['Title', 'Survived']].groupby(['Title'], as_index=False).mean()
  Title Survived
0 Master 0.575000
1 Miss 0.702703
2 Mr 0.156673
3 Mrs 0.793651
4 Other 0.347826

그리고 추출한 Title 데이터를 학습하기 알맞게 String Data로 변형해주면 된다.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Title'] = dataset['Title'].astype(str)

4-2. Sex Feature

이번에는 승객의 성별을 나타내는 Sex Feature를 처리할 것인데 이미 male과 female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String Data로만 변형해주면 된다.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Sex'] = dataset['Sex'].astype(str)

4-3. Embarked Feature

이제 배를 탑승한 선착장을 나타내는 Embarked Feature를 처리해보자.

일단 위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데이터 정보에 따르면 train 데이터에서 Embarked feature에는 NaN 값이 존재하며, 다음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train.Embared.value_count(dropna=False)

Output:

S      644
C      168
Q       77
NaN      2
Name: Embarked, dtype: int64

value_count()에서 dropna를 False로 해주면 NaN 값을 포함한 갯수의 총합을 세준다.

한편 위에서 보았던 Embarked Feature의 분포를 살펴보면 S가 대부분인데, 빠져있는 두 개의 데이터도 거기에 속할 확률이 크므로 S로 넣어주고 String Data로 변형해주자.

이런 방법 외에도 값이 누락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자.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Embarked'] = dataset['Embarked'].fillna('S')
    dataset['Embarked'] = dataset['Embarked'].astype(str)

4-4. Age Feature

Age Feature에도 NaN값은 존재하는데, 일단 빠진 값에는 나머지 모든 승객 나이의 평균을 넣어주자.

한편 연속적인 numeric data를 처리하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번에는 Binning을 사용할 것이다.

Binnig이란 여러 종류의 데이터에 대해 범위를 지정해주거나 카테고리를 통해 이전보다 작은 수의 그룹으로 만드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서 단일성 분포의 왜곡을 막을 수 있지만, 이산화를 통한 데이터의 손실이라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번에는 pd.cut()을 이용해 같은 길이의 구간을 가지는 다섯 개의 그룹을 만들어 보자.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Age'].fillna(dataset['Age'].mean(), inplace=True)
    dataset['Age'] = dataset['Age'].astype(int)
    train['AgeBand'] = pd.cut(train['Age'], 5)
print (train[['AgeBand', 'Survived']].groupby(['AgeBand'], as_index=False).mean()) # Survivied ratio about Age Band

Output:

         AgeBand  Survived
0  (-0.08, 16.0]  0.550000
1   (16.0, 32.0]  0.344762
2   (32.0, 48.0]  0.403226
3   (48.0, 64.0]  0.434783
4   (64.0, 80.0]  0.090909

이제 Age에 들어 있는 값을 위에서 구한 구간에 속하도록 바꿔준다.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loc[ dataset['Age'] <= 16, 'Age'] = 0
    dataset.loc[(dataset['Age'] > 16) & (dataset['Age'] <= 32), 'Age'] = 1
    dataset.loc[(dataset['Age'] > 32) & (dataset['Age'] <= 48), 'Age'] = 2
    dataset.loc[(dataset['Age'] > 48) & (dataset['Age'] <= 64), 'Age'] = 3
    dataset.loc[ dataset['Age'] > 64, 'Age'] = 4
    dataset['Age'] = dataset['Age'].map( { 0: 'Child',  1: 'Young', 2: 'Middle', 3: 'Prime', 4: 'Old'} ).astype(str)

여기서 Age값을 numeric이 아닌 string 형식으로 넣어주었는데, 숫자에 대한 경향성을 가지고 싶지 않아서 그렇게 했다.

사실 Binning과 같이 여기에도 장단점이 존재하는 것 같아 다음번에는 Numeric type으로 학습시켜서 어떻게 예측 결과가 달라지는지도 봐야겠다.

4-5. Fare Feature

Test 데이터 중에서 Fare Feature에도 NaN 값이 하나 존재하는데, Pclass와 Fare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것 같아 Fare 데이터가 빠진 값의 Pclass를 가진 사람들의 평균 Fare를 넣어주는 식으로 처리를 해보자.

print (train[['Pclass', 'Fare']].groupby(['Pclass'], as_index=False).mean())
print("")
print(test[test["Fare"].isnull()]["Pclass"])

Output:

   Pclass       Fare
0       1  84.154687
1       2  20.662183
2       3  13.675550

152    3
Name: Pclass, dtype: int64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누락된 데이터의 Pclass는 3이고, train 데이터에서 Pclass가 3인 사람들의 평균 Fare가 13.675550이므로 이 값을 넣어주자.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Fare'] = dataset['Fare'].fillna(13.675) # The only one empty fare data's pclass is 3.

Age에서 했던 것처럼 Fare에서도 Binning을 해보자. 이번에는 Age에서 했던 것 과는 다르게 Numeric한 값으로 남겨두자. (아까와 달리 이렇게 한 이유는 없음. ^^;)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loc[ dataset['Fare'] <= 7.854, 'Fare'] = 0
    dataset.loc[(dataset['Fare'] > 7.854) & (dataset['Fare'] <= 10.5), 'Fare'] = 1
    dataset.loc[(dataset['Fare'] > 10.5) & (dataset['Fare'] <= 21.679), 'Fare']   = 2
    dataset.loc[(dataset['Fare'] > 21.679) & (dataset['Fare'] <= 39.688), 'Fare']   = 3
    dataset.loc[ dataset['Fare'] > 39.688, 'Fare'] = 4
    dataset['Fare'] = dataset['Fare'].astype(int)

4-6. SibSp & Parch Feature (Family)

위에서 살펴봤듯이 형제, 자매, 배우자, 부모님, 자녀의 수가 많을 수록 생존한 경우가 많았는데, 두 개의 Feature를 합쳐서 Family라는 Feature로 만들자.

for dataset in train_and_test:
    dataset["Family"] = dataset["Parch"] + dataset["SibSp"]
    dataset['Family'] = dataset['Family'].astype(int)

4-7. 특성 추출 및 나머지 전처리

이제 사용할 Feature에 대해서는 전처리가 되었으니, 학습시킬때 제외시킬 Feature들을 Drop 시키자.

features_drop = ['Name', 'Ticket', 'Cabin', 'SibSp', 'Parch']
train = train.drop(features_drop, axis=1)
test = test.drop(features_drop, axis=1)
train = train.drop(['PassengerId', 'AgeBand', 'FareBand'], axis=1)

print(train.head())
print(test.head())

Output:

   Survived  Pclass     Sex     Age  Fare Embarked Title  Family
0         0       3    male   Young     0        S    Mr       1
1         1       1  female  Middle     4        C   Mrs       1
2         1       3  female   Young     1        S  Miss       0
3         1       1  female  Middle     4        S   Mrs       1
4         0       3    male  Middle     1        S    Mr       0
   PassengerId  Pclass     Sex     Age  Fare Embarked Title  Family
0          892       3    male  Middle     0        Q    Mr       0
1          893       3  female  Middle     0        S   Mrs       1
2          894       2    male   Prime     1        Q    Mr       0
3          895       3    male   Young     1        S    Mr       0
4          896       3  female   Young     2        S   Mrs       2

그러면 위와 같이 가공된 train, test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Categorical Feature에 대해 one-hot encoding과 train data와 label을 분리시키는 작업을 하면 예측 모델에 학습시킬 준비가 끝났다.

# One-hot-encoding for categorical variables
train = pd.get_dummies(train)
test = pd.get_dummies(test)

train_label = train['Survived']
train_data = train.drop('Survived', axis=1)
test_data = test.drop("PassengerId", axis=1).copy()

5. 모델 설계 및 학습

이번에 사용할 예측 모델은 다음과 같이 5가지가 있다.

  1. Logistic Regression
  2. Support Vector Machine (SVM)
  3. k-Nearest Neighbor (kNN)
  4. Random Forest
  5. Naive Bayes

나중에 위의 모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포스팅 할 텐데, 일단 이런 예측 모델이 있다고 하고 넘어가자.

일단 위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scikit-learn 라이브러리를 불러오자.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ogisticRegression
from sklearn.svm import SVC
from sklearn.neighbors import KNeighborsClassifier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from sklearn.naive_bayes import GaussianNB

from sklearn.utils import shuffle

학습시키기 전에는 주어진 데이터가 정렬되어있어 학습에 방해가 될 수도 있으므로 섞어주도록 하자.

train_data, train_label = shuffle(train_data, train_label, random_state = 5)

이제 모델 학습과 평가에 대한 pipeline을 만들자.

사실 scikit-learn에서 제공하는 fit()predict()를 사용하면 매우 간단하게 학습과 예측을 할 수 있어서 그냥 하나의 함수만 만들면 편하게 사용가능하다.

def train_and_test(model):
    model.fit(train_data, train_label)
    prediction = model.predict(test_data)
    accuracy = round(model.score(train_data, train_label) * 100, 2)
    print("Accuracy : ", accuracy, "%")
    return prediction

이 함수에 다섯가지 모델을 넣어주면 학습과 평가가 완료된다.

# Logistic Regression
log_pred = train_and_test(LogisticRegression())
# SVM
svm_pred = train_and_test(SVC())
#kNN
knn_pred_4 = train_and_test(KNeighborsClassifier(n_neighbors = 4))
# Random Forest
rf_pred = train_and_test(RandomForestClassifier(n_estimators=100))
# Navie Bayes
nb_pred = train_and_test(GaussianNB())

Output:

Accuracy :  82.72 %
Accuracy :  83.5 %
Accuracy :  85.41 %
Accuracy :  88.55 %
Accuracy :  79.8 %

6. 마무리

위에서 볼 수 있듯 4번째 모델인 Random Forest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88.55%)를 보였는데, 이 모델을 채택해서 submission 해보자.

submission = pd.DataFrame({
    "PassengerId": test["PassengerId"],
    "Survived": rf_pred
})

submission.to_csv('submission_rf.csv', index=False)

이제 여기서 만든 csv파일을 Kaggle에 업로드시켜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My First Submission
My First Submission

코드 상에서 확인한 정확도 보다는 꽤 많이 떨어진 77%가 결과로 나왔는데 Leader Board를 확인해보니 만 명 중에서 5000등 정도 나온다.

첫 번째 캐글 도전 치고 나쁘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 같아서 다행이긴 한데, 포스팅을 하고보니 개선하거나 시도해 볼 만한 부분이 몇 가지가 보인다.

  • Data에 있는 Outlier 제거하기
  • 데이터 분석을 더 자세하게 하기
  • NaN 값을 다른 방법으로 채워넣기
  • 사용하지 않은 Feature(Ticket, Cabin) 활용하기
  • 모델 설계, hyperparameter 선택, 평가(Cross Validation)를 직접 구현해서 진행하기

사실 이번에 Kaggle Competition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데이터 분석에 할애한 시간이 그렇게 많지는 않았던 것 같다.

데이터 시각화나 분석하는 기법들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 위와 같은 부분을 개선해서 성능을 올려봐야겠다.